Spring/팀스파르타

3. HTTP란 무엇일까?

열심히 해 2024. 10. 21. 10:31

HTTP란 무엇일까?

 

  •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식을 정의한 "통신 규약" 중 하나가 HTTP입니다.
  • 매우 범용적인 양식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에서 제일 널리 쓰이는 통신 규약입니다.

 

 

  • HTTP에서는 언제나 Request, Response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.
  • 서버와 브라우저의 관계로 가볍게 말해보면 아래와 같이 동작합니다.
    1. 브라우저는 서버에게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(URL 등의 정보)를 **요구(Request)**합니다.
    2. 서버는 브라우저가 원하는 페이지가 있는지 확인하고, 있다면 해당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실어 응답**(Response)**해줍니다. 없다면 없는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반환합니다.
    3. 브라우저는 서버에게 전달 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라우저에 그려줍니다.

 

 

 

브라우저에서 F12를 눌러 개발자 도구에서 살펴보기.

 

 

F12 -> 상위 탭에서 Network -> 아래 네임에서 아무거나 선택.

 

 

 

Headers 탭

 

1. General: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보낸 Request 데이터라고 보면 쉽습니다.

  • Status Code 200은 ‘요청이 성공했다’라는 뜻을 의미합니다.
  • HTTP 상태 코드(Status Code)를 통해 브라우저와 서버간의 요청, 응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HTTP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  • 첫 번째 자리 숫자는 상태 코드의 분류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며, 나머지 두 자리는 세부적인 정보를 나타냅니다.
    • 1xx (Informational)
      • 1xx 상태 코드는 요청이 수신 되었으며 처리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.
      • 주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    • 2xx (Successful)
      • 2xx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 되었음을 나타냅니다.
      •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200입니다.
      • 이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 되었으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가 서버에서 제공됨을 의미합니다.
    • 3xx (Redirection)
      • 3xx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해야함을 나타냅니다.
      • 이 상태 코드는 주로 페이지 이동, 리다이렉션 등에 사용됩니다.
    • 4xx (Client Error)
      • 4xx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냅니다.
      • 이 상태 코드는 주로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, 인증 오류 등에 사용됩니다.
      •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404입니다. 이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페이지나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.
    • 5xx (Server Error)
      • 5xx 상태 코드는 서버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.
      • 이 상태 코드는 주로 서버의 오류, 서버 과부하 등에 사용됩니다.
      •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500입니다. 이는 서버 내부 오류가 발생함을 의미합니다.

 

2. Request Headers: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보낸 Request 데이터

 

3. Response Headers: 서버가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보낸 추가 데이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