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ring/팀스파르타

22. JPA Auditing

열심히 해 2024. 11. 7. 20:17

Timestamped

 

 

데이터의 생성(created_at), 수정(modified_at) 시간은 포스팅, 게시글, 댓글 등 다양한 데이터에 매우 자주 활용됩니다.

 

각각의 Entity의 생성, 수정 시간을 매번 작성하는건 너무 비효율적입니다.

 

 

  • Spring Data JPA에서는 시간에 대해서 자동으로 값을 넣어주는 기능인 JPA Auditing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 

import java.time.LocalDateTime;

@Getter
@MappedSuperclass
@EntityListeners(AuditingEntityListener.class)
public abstract class Timestamped {

    @CreatedDate
    @Column(updatable = false)
    @Temporal(TemporalType.TIMESTAMP)
   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;

    @LastModifiedDate
    @Column
    @Temporal(TemporalType.TIMESTAMP)
    private LocalDateTime modifiedAt;
}

 

 

 

  • @MappedSuperclass
    • JPA Entity 클래스들이 해당 추상 클래스를 상속할 경우 createdAt, modifiedAt 처럼 추상 클래스에 선언한 멤버변수를 컬럼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.
  • @EntityListeners(AuditingEntityListener.class)
    • 해당 클래스에 Auditing 기능을 포함시켜 줍니다.
  • @CreatedDate
    • Entity 객체가 생성되어 저장될 때 시간이 자동으로 저장됩니다.
    • 최초 생성 시간이 저장되고 그 이후에는 수정되면 안되기 때문에 updatable = false 옵션을 추가합니다.
  • @LastModifiedDate
    • 조회한 Entity 객체의 값을 변경할 때 변경된 시간이 자동으로 저장됩니다.
    • 처음 생성 시간이 저장된 이후 변경이 일어날 때마다 해당 변경시간으로 업데이트됩니다.
  • @Temporal
    • 날짜 타입(java.util.Date, java.util.Calendar)을 매핑할 때 사용합니다.
    • DB에는 Date(날짜), Time(시간), Timestamp(날짜와 시간)라는 세 가지 타입이 별도로 존재합니다.
      • DATE : ex) 2023-01-01
      • TIME : ex) 20:21:14
      • TIMESTAMP : ex) 2023-01-01 20:22:38.771000

 

 

 

 

 

@SpringBootApplication이 있는 class에 @EnableJpaAuditing 추가하여 JPA Auditing 기능을 사용하겠다는 정보를 전달합니다.

'Spring > 팀스파르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4. Bean을 수동으로 등록하기  (1) 2024.11.10
23. Query Methods란 무엇일까?  (1) 2024.11.08
21. Spring Data JPA란 무엇일까?  (0) 2024.11.06
20. Spring의 트랜잭션  (1) 2024.11.05
19. 영속성 컨텍스트의 기능  (1) 2024.11.05